본문 바로가기
경제

늘봄학교 시범 운행

by 호주댁루피나 2023. 3. 6.
반응형

늘봄학교 시범 운행 

 

늘봄학교 정의

 

교육부는 전국 초등학교 돌봄 교실 운영인 늘봄학교를 추친하고 있습니다. 서울에 있는 초등학교에서 시범운영 중인 늘봄학교는 올해부터 경기, 인천, 경북, 전남, 대전 등 5개 지역의 200여 곳의 초등학교에서 실시할 예정입니다. 초등학교 늘봄학교는 맞벌이 부부들이 아이를 케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아침부터 오후까지 아이를 돌보면서 교육하는 통합 서비스입니다. (인천) 지역기관이 직접 기획?운영하는 마을 방과후학교, 아침 특색 프로그램 운영, 늘봄학교에 행정 전담인력을 배치하여 학교 업무경감 지원, (대전) 1학기 동안(3~6월) 희망하는 신입생 대상 새봄교실 운영, 퇴직교원 등으로 실버 돌봄 지원단 구성하여 아침 돌봄, 저녁 일시 돌봄 제공, (경기) 특기적성 프로그램 수강 시 1인 1 에듀테크 연계 학습 프로그램 제공하여 학력 증진 지원, 소외계층 돌봄을 위한 주말. 방학 방과후학교 운영, (전남) 도시형(돌봄 중심), 농어촌형(방과 후 중심) 늘봄학교 운영체제 모델 개발, 기초학력. 지역특화. 문화예술. 다문화 등 ‘미래형. 전남특성화 프로그램’ 지원 (경북) 농.어번기형.도시형 등 지역맞춤형 늘봄학교 운영, 초1 새싹 돌봄(3월), 해님식(간편식) 제공하는 아침 돌봄 운영, 교육청-지자체 마을 돌봄 연계 강화, 과대. 과밀학교 등 인근 학교 초과 수요 공동대응을 위한 교육청 주관 거점형 돌봄 기관 7개소, 총 200억 원 신규 구축 지원, 디지털. 예체능 등 우수 방과 후 프로그램. 강사 인력풀 제공, 다양한 인력(행정인력, 자원봉사자, 기간제 교원 등) 추가 배치하여 학교 업무경감 추진 합니다.

 

 

늘봄학교 운영 계획

 

초등학교 1학년에 들어가면 방과후 에듀케어 프로그램이 무상으로 제공됩니다. 양질의 돌봄 서비스와 함께 교육이 진행됩니다. 단순한 시간 연장의 목적이 아니라 체계적인 교육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정규 수업 종료 후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제공하여 요리나 민속놀이, 생활체육 등의 놀이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특별히 초등학교 신입생의 학교적응과 일찍 하교에 따른 돌봄 공백 해소를 초1에듀케어 프로금램을 시범운행 하게 됩니다. 오후 돌봄 뿐 아니라 아침 돌봄과 저녁 돌봄의 운영도 단 게 적으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고학년인 경우에는 인공지능이나 코딩, 빅데이터 같은 기술 관련 프로그램을 신설하여 수업을 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돌봄 교실은 한부모 가정이나 맞벌이 부부, 조손가정 등의 사회 취약계층에 집중되어 있었습니다. 이번에 새로 도입되는 늘봄학교는 누구에게나 원하는 사람에게 라는 목적을 두고 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긴급하게 저녁 돌봄이 필요한 학생들에게 하루 또는 일정기간 돌봄을 제공하는 일시 돌봄 서비스도 시범 운행하게 됩니다.

 

늘봄학교 목표

 

추진전략

저학년 고학년을 위한 차별화 교육

 

저학년도 기존의 단순한 돌봄에서 벗어나 기초학력 지원,예체능과 코딩 같은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고학년의 경우도 인공지능, 코딩, 빅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방과 후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틈새 돌봄을 강화시켜 교육과 돌봄을 통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첨단기술을 활용한 에듀테크 기반의 교수 방법을 도입하여 대학, 기업, 단체, 개인 등 다양한 민간의 참여를 확대합니다. 상대적으로 거리, 시간, 자원 등의 제약이 있는 농촌 지역에서는 온, 오프라인 강좌를 병행하여 지원할 예정입니다. 수요조사를 통해 아이들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인기 강좌를 추가 개설하여 추가수요에 대응하고 학생 개별 맞춤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스포츠 예술등 지역자원과 연계한 프로그램 역시 발굴하여 방과 후 프로그램을 실속 있게 구성할 계획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