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에어컨 무상 사전점검 및 화재 사고 대비

by 호주댁루피나 2023. 5. 3.
반응형

에어컨 무상 사전점검 및 화재 사고 대비

 

에어컨 무상 사전점검

 

한국소비자원은 여름을 대비하여 에어컨 무상 사전점검 및 화재사고 대비를 위한 사업을 진행합니다. 매년 여름 에어컨의 사용량은 증가하지만 안전점검 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소방청 통계에 따르면 에어컨은 여름철에 사용하는 기기 중 화재 사고가 가장 많은 제품으로 환기 및 누수 등 소비자 사용환경 점검과 누전차단기 등 안전 부품의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최근 3년간 에어컨 관련 화재 건수는 총 749건입니다. 사망자 없이 부상자 1명이었던 2021년에 비해 2022년에는 사망 9명, 부상 49명으로 인적 피해가 증가했습니다. 이와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에어컨 사전점검이 중요합니다. 

 

에어컨 제조사별 무상점검

 

이번 캠페인은 3월 27일부터 4월 30일까지 한국소비자원 ‘가전제품 사업자 정례협의체’의 에어컨 제조사*가 참여해 무상(출장·점검)으로 진행된다. 다만, 에어컨 부품 교체, 실외기 이전설치 등이 필요한 경우 일부 비용이 들 수 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에서 구성·운영하는 소비자 안전이슈 대응 및 안전사고 저감 등을 위한 자율협의체로 삼성전자㈜, LG전자㈜, 오텍캐리어㈜, ㈜위니아 등4개 업체참여 에어컨 안전점검은 제조사에 사전 예약한 후 순차적으로 받을 수 있고, 예약은 해당 제조사 대표번호와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합니다. 전원, 콘센트 작동 등 에어컨의 주요 안전 사항을 비롯해 냉방, 리모컨 등의 성능까지 종합적으로 진단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제조사의 전문기술자가 설치하지 않은 제품은 이번 행사를 통해 안전점검을 받을 것을 권장하며, 방문 점검을 받기 어려운 소비자는 스스로 제품을 점검할 수 있는 ‘에어컨 자가점검’ 방법을 활용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한국소비자원과 가전제품 사업자정례협의체는 에어컨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소비자에게 실외기 설치 시 벽면과 최소 10cm 이상 떨어뜨릴 것, 가동 전에 실외기는 밀폐되지 않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설치할 것, 실외기 사용 전 반드시 먼지 제거 청소를 할 것, ▲에어컨과 실외기의 전선이 훼손된 곳은 없는지 확인할 것, 과열되기 쉬운 에어컨 전원은 멀티탭이 아닌 전용 단독 콘센트를 사용할 것 등을 강조했습니다.

 

에어컨 제조사 사전예약 방법

 

 

점검내용 및 점검비용

 

안전(전원)점검 : 전원 콘센트(멀티탭 사용금지) 및 차단기 작동, 리모컨 건전지 상태 등, 성능점검 : 냉방운전 18℃에서 가동하여 냉방 성능 확인 등, 누수점검 : 냉방운전 시 배수호스 누수 여부, 이물 막힘 등, 위생 청결점검 : 실내기 필터 오염 등, 환기점검 : 실외기실 주변 환기상태 등입니다. 점검비용, 출장 및 점검 비용 : 무상, 부품 교체 및 GAS 충전, 사다리차 이용, 실외기 이전설치 등 : 유상, 참여업체 공동 방역 수칙 주요 내용, 출장 서비스 전 : 사전 전화를 통해 소비자에게 방문 동의 여부 확인 합니다. 방문 시 철저한 안전조치 실시 안내, 자가격리 중인 고객의 경우 자가격리 해제 이후로 방문 서비스 연기 안내 등, 출장 서비스 시 : 서비스 엔지니어 기본 방역 철저, 서비스 수행 전 개인 몸 상태 필수 체크(발열, 인후통 여부 등)입니다.

 

에어컨 자가 점검 방법

 

 

제조사별 신청 방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