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청년 도약계좌 신청방법

by 호주댁루피나 2022. 12. 21.
반응형

청년 도약계좌 신청방법

 

청년 도약 계좌 정의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6월에 출시합니다. 정부는 2027년 까지 5년간 3조 원이 넘는 재정을 투입하여 청년층을 돕는 정책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매달 70만 원씩 5년간 저축하면 5천만 원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청년 목돈 마련 프로젝트 금융상품입니다. 가입대상자는 개인소득 연 6000만 원 미만 및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의 만 19~34세 청년입니다. 월 납입금의 3~6%를 정부가 보조하고 여기에 비과세 이자가 붙는 방식의 적금입니다. 올해 초 290만 명이 가입을 신청할 정도로 인기 있는 청년희망적금을 폐지하고 확대 개편 하는 금융상품이며 기존 청년희망적금 가입자의 중복 가입이나 갈아타기 여부는 아직 협의 중입니다. 금융위는 청년 도약 계좌의 가입자를 306만 명 정도로 예상했습니다. 그로 인한 정부 기여금은 연간 약 7000억 원 정도가 필요한 것으로 추산됩니다. 하지만 2023년 첫 실행 연도 6월에 출시하는 것을 감안하여 기여금을 그 절반 정도인 3440억 원으로 내년 예산안을 추정했습니다.  금융원은 2024년 6884억 원, 2025년 6931억 원 2026년 6963억 원 등으로 예산을 추산하며 점점 더 재정지출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가입 조건 및 혜택

 

조건:근로 및 사업소득이 있는 만 19세 ~34세 청년이며, 혜택은 본인납입액 + 정부지원금을 합쳐 매월 70만원을 모을 수 있으며 월기 준 30~60만 원을 납입하면 정부에서 10만~40만 원을 보태주는 형태입니다. 매월 저축하면 정부에서 일정 부분의 금액을 보태주는 형식이기 때문에 앞서 시행한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한 형태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소득제한이 없는 게 특징이며 연소득 3600만 원 이하인 청년만 가입할 수 있었던 희망적금과 달리 청년이라면 누구나 가입이 가능하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기존청년적금과 비교

 

기존의 청년희망적금은 총급여가 3600만원 이하인 19~34세(1987년 2월 21일까지 출생자) 청년층이 가입할 수 있으며, 2년간 매달 50만 원 까지 납부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기본적으로 은행은 연 5~6% 안팎의 금리를 제공하며 만기를 채우면 정부가 예산으로 1년 차 2%,2년 차 4% 등 저축장려금을 추가 지급합니다. 추가적으로 비과세 혜택도 부여하는 구조입니다. 같은 이율의 일반 시중은행 적금과 비교했을 때 만기 시 약 100만 원 정도 더 받을 수 있는 적금이니까 가입이 가능한 청년들은 이미 가입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존의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5000만원의 목돈을 만들 수 없으며 또한 금리나 비과세 혜택이 적기 때문에 만약 정책상 기존희망적금 가입자가 갈아타기를 할 수 있다면 청년도약계좌로 전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물론 사람마다 상황을 고려해서 자신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시는 것이 우선입니다.

 

 

청년 도약 계좌 가입기간

 

지난 8월말 발표된 금융위 예산안에 따르면 23년 청년 도약 계좌에 3528억 원이 신규로 배정되었습니다. 하지만 아직 국회 예산안 심의를 통과하지 않았고 세부 시행 사항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라서 대략적인 계획만 만들어 놓은 상태입니다. 23년 예산안이 확정되었다고 해도 실제 적금 상품을 운용할 금융회사와도 협의 단계를 거치는 등의 많은 과정이 남아 있습니다. 사실상 2023년 6월 이후로 가입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응형

댓글